Memo 32

[Linux] 리눅스 명령어 단축어 설정 - alias

요약 home/(root 또는 계정명)/.bashrc 또는 .bash_profile 파일 에 alias 추가 사용하려는 파일은 각자 상황에 맞춰서 적용. (단 .bash_profile 파일의 경우 갱신절차 . .bash_profile 필요) [/home/oracle]$ pwd # 현재 계정명이 oracle임 /home/oracle [/home/oracle]$ ls -la total 60 drwx------. 6 oracle dba 4096 Jun 12 05:02 . drwxr-xr-x. 3 root root 20 May 6 11:40 .. -rw-------. 1 oracle dba 2460 Jun 11 22:58 .bash_history -rw-r--r--. 1 oracle dba 18 Aug 2 20..

[Linux] 리눅스 환경변수 확인 / 환경변수 파일 위치

요약 전체확인 : env 일부확인 : echo $(환경변수명) [/home/oracle]$ env .... MAIL=/var/spool/mail/oracle TERM=xterm SHELL=/bin/bash TNS_ADMIN=/app/oracle/product/19.3/db_1/network/admin SELINUX_USE_CURRENT_RANGE= SHLVL=1 ORACLE_HOSTNAME=HORA19C LOGNAME=oracle ... [/home/oracle]$ echo $PATH /app/oracle/product/19.3/db_1/bin:/home/oracle/.local/bin:/home/oracle/bin:/usr/local/bin:/usr/bin:/usr/local/sbin:/usr/sbin..

[Tibero] 개발 DB Server 부팅실패 이슈처리

개요 2022.08.30 개발 DB용량 초과 최초발생 → 우선 Tibero Log 파일 삭제조치 2022.09.27 작업이력 현재 개발 DB 는 VM에서 구동중인데, 지난 7월 하드디스크 관련 경고 메세지 발생 후 다시 켜지지 않는 사태가 발생했었다. 당시 부팅 메세지를 확인해봤을때, 가용 디스크 용량이 99% 까지 사용되며 부팅파일을 실행시키지 못해 LOCK 상태에 빠지는 것으로 판단했다. 문제는 CLI모드로도 접속이 불가해서.. 웹서버의 경우 비정상 용량초과 발생시 보통 불필요한 로그파일을 삭제하는 것으로 처리했었는데 CLI 모드 접속이 안되니.. 대용량 LOG파일의 추적/삭제가 불가했다. 다행히 개발Server이미지를 반기별로 백업하고 있어 백업 이미지로 복구를 진행했다.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 ..

Memo/Tibero 2022.10.28

[Tibero] APM 테이블 스페이스 재생성

개념 Automatic Performance Monitering (매뉴얼) Tibero DBMS는 DBA가 성능 문제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통계를 제공하고 있다. Automatic Performance Monitoring(이하 APM)은 이러한 통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하여 DBA가 이를 위한 작 업을 따로 할 필요가 없어졌고, 수집한 통계 자료에 대한 자체적인 분석 리포트 출력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 부하 분 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이다. Oracle의 AWR(Automatic Workload Repository)에 해당하는 기능이다. 주요기능 스냅샷 (v$sysstat, v$system_event, v$sqlstats, v$sgastat 등 Tibero의 각종 성능..

Memo/Tibero 2022.10.27

[Tibero] undo 테이블스페이스 switch

UNDO 테이블스페이스 데이터파일의 크기를 줄일수 없어 TBS 를 재지정 개념 undo & redo REDO : 오래된 데이터를 최신 데이터로 만들기 위해 존재 (읽기 일관성을 위해 언두사용) UNDO : 최신데이터를 오래된 데이터로 만들기 위해 존재 ORA-1555 발생시 undo_retention 이나 언두 TBS 크기의 튜닝을 검토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인스턴스가 비정상 종료했을떄는, 리두와 언두를 사용해 데이터를 복구하고 커밋하지 않은 데이터의 롤백을 수행 undo Table 관리 Undo Data가 늘어나도 늘어난 데이터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는 없다. Commit을 수행해도 Undo Segment안에 Undo Data는 지워지지 않고 남아있기 때문. Commit 수행 시 다른 서버 프로세스가..

Memo/Tibero 2022.10.25

[Eclipse] 이클립스에서 Class File 열기 (JadClipse/Enhanced Class Decompiler/JD-Eclipse)

0. index 이클립스에서 Class 파일을 열어보는 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JadClipse Enhanced Class Decompiler JD-Eclipse 원래는 JadClipse 나 JadClipse+Class Decompiler 로 사용하는데, 새 플러그인을 찾아서 방법을 기록해놓는다. (JDK1.8에 Eclipse-Photon 환경에서 JadClipse가 동작을 안해서 새로 찾았다.) 세 가지 방법 중 한 가지만 선택해서 하면 된다. JadClipse나 Class Decompiler는 동일한 포스트가 많아서.. 굳이 써야될까 싶은데 일단 적어놓음 1. JadClipse 1.1. jad.exe 설치 https://varaneckas.com/jad/ 파일명 : jad158g.win.zip >..

Memo/기타 2022.09.29

왜 IDE와 WS를 그대로 복사해왔는데 이클립스 구동이 안될까?

0. 개요 이번에 SVN브랜치를 개발버전과 신기능테스트용 버전을 나누면서 개발서버를 따로 구축할 일이 있었다. 다들 아는 사실이지만 SVN브랜치 기능은 git브랜치에 비해 많은점이 부족하다.. 구성은 대강 이런 느낌인데 ▷ 로컬 (Master, 윈도우내부망) ▷ 운영 (Tmax, JBOSS-WAS) ▶ 개발서버1 (기존테스트서버, 리눅스/내부망) ▶ 개발서버2 (신기능테스트서버, 윈도우내부방 (IDE로 서버구동)) ▶ 개발서버3 (신기능빌드서버-실사용자테스트용, 리눅스.외부망) 이러한 구성인데, 새로구축한 2번, 3번 서버에서 이클립스가 안열리거나 서버가 켜지지 않아서 애를 먹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이 냈으며 잘 처리되었다. 개발서버2 : 로컬 pom.xml 에 기술된 m2 라이브러리로는 구동불가 → 실..

Memo/기타 2022.09.26

[RegularExp] 정규식 그룹 캡처 + REPLACE

옛날에 10만줄 짜리 CSV 파일들의 특정문자열(A-Z-X-A)를 변경문자열(A-B-C-A-D)로 변경하는 작업을 했었는데 정규식이란 것만 알았지 이름이 뭔지를 몰랐었다. 그래서 발생한 문제점.. 정확히 어떻게 썼는지 확인하고 싶어도 레퍼런스 검색을 할 수 없음.. 하지만 이번에 작업하면서 명칭을 찾게 되어 기쁜 마음에 기록해놓는다 위 문자열을 아래 와 같이 변경하려 한다. 반복되는 문자열 selection.CATEGORY_04 을 A 라 할때, A-B-A 형태로 변경하면 된다 그룹-명칭으로 캡처 + REPLACE find : (?selection.[A-Z_]+[0-9]+) replace : ${this} eq null ? 0 : ${this} ※ 여기서 this 는 js 의 객체가 아니라 고유명사로 사..

Memo/기타 2022.09.24

일자별로 catalina out 파일 생성하기

개요 catalina.out 파일은 Tomcat 구동중 발생하는 모든 내용을 기록하는 log 파일로 별도의 설정이 없을시 1개의 파일로 모든 내용을 기록하게 된다. 즉 이 파일이 끊임없이 커지게 된다. 최악의 경우 배포할때 파일이 잘려서 올라간다거나 용량이 가득차 log가 남지 못하다거나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취할 수 있는 조치와 설정방법을 정리해놓는다. 일별로 파일 생성 서버로그와 애플리케이션 로그의 분할 일자별로 catalina.out 파일 생성하기 startup.sh, shutdown.sh 는 내부적으로 catalina.sh 를 실행하도록 되어있다. ${INSTANCE_DIR}/bin/catalina.sh 파일의 다음 부분을 수정한다. touch "$CATALINA_OUT" → ..

Memo/Server-manage 2018.08.01